본문 바로가기
책 & 영화 리뷰

[우리가 혹하는 이유] 3.개소리의 등급

by 똘똘한 똘이장군 2022. 9. 2.

우리가 일상 속에서 개인적으로 교류하며 

상호작용하고 신뢰하는 사람들의 개소리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그래서 나는 일상에서 마주치는 여러 유형의 개소리를 구별하는데 유용한 단서를 고안했다.

그리고 '개소리에 꾀는 파리 지수'라는 명칭을 붙였다.

-우리가 혹하는 이유 中-



저자는 개소리의 심각성에 따라 '개소리에 꾀는 파리 지수'라는 표현을 하며

이걸 고안해 한 마리에서 세 마리까지 파리에 등급을 부여했습니다.

지독한 배설물 일수록 파리떼가 더 꼬이는 걸 같은 이치로 이런 표현을 한 겁니다.


파리 한마리

무해하지만 신념이나 불신을 드러내 듣는 이의 눈을 휘둥그레 만드는 정도에 그치는 개소리


미역국먹으면 시험에 떨어진다.

까마귀가 울면 불길한 일이 생긴다.

바로 이런 말들이 한 마리에 속합니다.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비교적 해롭지는 않습니다.


파리 두마리

그런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소리


대표적으로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같은 말이 해당됩니다.


파리 세 마리

타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잘못된 믿음과 파괴적인 결정을 불러올 수 있는 개소리


이 높은 등급의 개소리를 한 대표적인 인물이

일본 무능 장군의 대표적 인물 무타구치 렌야입니다.

무타구치 렌야

이 사람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의 패망을 앞당긴 무능 of 무능 의 대명사입니다.

보급이란 원래 적에게서 취하는 법이다.

포탄은 자동차 대신 소나 말에 싣고 가다가 포탄을 다 쓰면 필요 없어진 소나 말을 먹으면 된다.

그 중 그가 한 가장 유명한 망언은 전쟁 중 식량 부족으로 고통받는 부하들에게 했던 말입니다.

일본인은 원래 초식동물이다. 

이 말의 의도를 들으면 아주 기가 막힙니다.

일본인은 원래 초식동물이기 때문에 길가에 풀을 뜯어먹으며 전투하라. 는 소리였습니다.

말 그대로 개소리 of 개소리였습니다. 

이 말 때문에 부대의 절반 가까운 인원이 독초를 먹고 죽거나 굶주림으로 사망하는 끔찍한 결과를 낳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파리 세 마리에 해당하는 개소리를 만나면 무조건 눈과 귀를 닫아야 합니다.

현혹되면 큰일 납니다.


개소리 때문에 실질적으로 치러야 하는 가장 큰 대가는

주로 달갑지 않은 영향을 제거할 때 드는 시간과 노력이

애당초 그 영향을 생성할 때보다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개소리는 몇 초면 생성할 수 있지만 잘못이라고 입증되기까지는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

개소리 때문에 우리가 어떤 심리적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믿는다.

개소리는 우리의 기억, 태도와 신념, 결정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혹하는 이유 中-


이 말에 격하게 공감을 합니다.

개소리는 단 몇 초면 생성할 수 있고 입 밖으로 내는데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악영향을 제거하는 데는 수천배의 비용과 시간을 지불해야 합니다.

잘못된 기억이든 잘못된 정보든 한번 '믿게' 되거나 '맞다'라고 생각하게 되면

그걸 제거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그것을 보여주고 증명하는 실험들이 심리학에 무수히 많습니다.


1958~1962년 발생한 이 참사는 홀로코스트 희생자의 약 6배에 이르는 인명을 앗아갔다.

매우 비극적인 사건이었지만 이 사건에 대해 잘 모르는 이들이 많다.

발단은 개소리 때문이었다.

아마도 20세기에 탄생한 숱한 개소리중 가장 극단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나 싶다.

-우리가 혹하는 이유 中-


여기서 말하는 이 소리의 주인공이

바로 중국의 정치가 마오쩌둥이 실시한 제사해운동입니다.

곡물 수확의 원흉으로 지목받는 네 가지 해충을 박멸하자는 운동이었죠.

쥐, 파리, 모기, 그리고 참새였습니다.

쥐 파리 모기는 전염병을 옮기니까 어느 정도 이해는 갑니다만

해충에 참새는 안 어울리지 않나요?

여담에 의하면 마오쩌둥이 농촌의 시찰을 갔다가 곡식을 쪼아 먹는 참새를 보고 분노해

저 새는 해로운 새다라고 말한 것이 화근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 결과 공무원과 학생을 포함해 중국인 수백 수천만 명이 농장과 거리로 나섰습니다.

그 당시 약 430만마리 이상의 참새가 중국 전역에서 사라졌다고 추정됩니다. 

사실 참새가 흉작의 원인이라는건 틀린말이었습니다.

다만 참새를 제거하면 곡물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싶었던 거죠.

참새는 곡물을 쪼아 먹기도 하지만 농작물의 병충해를 일으키는 곤충과 메뚜기를 잡아먹기도 합니다.

천적인 참새가 사라졌으니 메뚜기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겠죠.

모든 논과 밭이 눈에 띄게 황폐해졌습니다.

이 때문에 유발된 생태계 불균형은 곧 인류 역사상 최악의 대기근으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약 3,600만명이 굶어 죽게 되었습니다.

지도자의 생각 없는 한마디가 나라를 위험에 빠뜨렸던 사례입니다.

이런 역대급 개소리로 인한 참사는 우리 인류사에 앞으로도 언제 얼마든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책 읽어 주는 나의 서재 E44 참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