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영화 리뷰

[우리가 혹하는 이유] 2. MBTI 가 재미있는 이유

by 똘똘한 똘이장군 2022. 9. 1.

요즘 우리 사회가 단체로 혹한 것이 있습니다.


MBTI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격 테스트일 것이다.

연간 250만 명 이상이 MBTI설문지를 완성하고

[포춘] 선정 100대 기업 중 89개 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 MBTI를 활용 중이다.

하지만 MBTI가 애초에 심리학자들이 만든 게 아닌 데다

오락실게임용으로 고안되었다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우리가 혹하는 이유 中-


MBTI

내향(I) 외향(E) 직관(N) 감각(S)

감정(F) 사고(T) 인식(P) 판단(J)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라 16가지 심리유형 중 하나로 분류하는 성격 검사


MBTI의 열기는 아주 뜨겁습니다. 

요즘엔 상대방의 이름보다 중요한 게 MBTI 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연애 상대를 매칭 할 때 MBTI를 고려하는 소개팅 앱도 생겼고

한 여행사에서는 MBTI 유형별로 여행지를 추천하기도 한답니다.

그리고 실제로 취업을 할 때 자기소개서 란에  MBTI를 필수로 기재하는 회사까지 생겼다고 합니다.

그런데 굉장히 많은 심리학자들은
 
MBTI로 사람에 대해서 이렇게 많은 것에 대한 판단을 하는 걸 우려합니다.


사실 MBTI는 우리가 수십 년 동안 가장 오남용하고 있는 검사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아마 MBTI가 검사 결과가 예전과 지금이 다른 경우를 경험한 사람이 많을 겁니다.

내가 바뀌었나 라고 하겠지만 아닙니다.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MBTI를 검사하면 거의 대부분 내향적으로 나옵니다. 

왜 그럴까요?

남의 말을 주로 경청한다에 그렇다고 체크 하기 때문입니다.

신입사원은 다른 직원의 말을 잘 들어야 하니까요.

그러면 과장님 부장님 전무님들에게 MBTI검사를 하면 이건 대부분 외향적으로 나옵니다. 

당연하겠죠.

부서의 장이니 주도적으로 얘기해야 되니까요.

그러니까 그런 류의 질문에 그렇다고 체크 하는 겁니다. 

MBTI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되돌아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만..

딱 그 정도로만 이해 하셔야 합니다. 

그 이상의 맹신이나 과몰입은 위험합니다. 


1940년대의 홈스쿨링으로 자녀를 키우고 있는 캐서린 브릭스가

자신의 딸 브릭스 마이어스를 위해 스위스 정신분석학자 칼 융의 개념론을 공부하고

"세상에는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이 있단다.

이런데 YES 하는 사람, 이런데 NO 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달라져" 라고 하면서

인간을 성격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사회적 다양성게임 게임으로 만든 겁니다.

그래서 이 M 과 B가 바로 이름에서 따온 겁니다.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riggs-Myers)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ook Briggs)


그런데 여기서 게임이라는 뜻은 무엇일까요?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 결과는 점수로 수치화되어 나오거나

또는 서열로 수치화되어 나오면 그 점에 흥미를 보입니다.

예전에 애니팡이라는 퍼즐을 열심히 했더니 카카오톡 친구들이 랭킹되어 보여집니다.

그랬더니 경쟁적으로 더 열심히 퍼즐을 맞추었으니까요.

이렇게 게임적 요소가 있는 것들은 우리로 하여금 무언가에 홀딱 빠지게 만듭니다.

MBTI 역시 나는 문항에 답을 했을 뿐인데 결과가 4개의 영문 철자로 나옵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자신과 상대방의 성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느낌까지 주죠.

그래서 더 쉽게 현혹되는 겁니다.


책 읽어 주는 나의 서재 E44 참조

반응형

댓글